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9.4흐림북춘천11.5구름많음철원8.0구름많음동두천10.1흐림파주8.8흐림대관령5.6흐림춘천10.3구름많음백령도6.0비북강릉9.8흐림강릉10.4흐림동해11.1비서울11.8비인천11.1흐림원주12.6비울릉도8.1비수원12.6흐림영월12.1흐림충주13.1흐림서산11.4흐림울진12.1흐림청주14.6흐림대전13.3흐림추풍령11.5흐림안동11.3흐림상주11.8흐림포항12.4흐림군산11.3흐림대구10.7비전주12.8흐림울산12.8흐림창원12.4비광주12.9흐림부산13.8흐림통영12.9비목포13.0비여수12.9비흑산도11.9흐림완도13.5흐림고창10.5구름많음순천11.0비홍성10.4흐림서청주11.2비제주15.7구름조금고산14.9흐림성산16.7비서귀포15.9흐림진주10.6흐림강화9.8흐림양평13.2흐림이천11.1흐림인제9.2흐림홍천9.8흐림태백7.1흐림정선군9.4흐림제천11.4흐림보은12.3흐림천안13.3흐림보령10.7흐림부여11.8흐림금산11.8흐림세종13.9흐림부안10.6흐림임실11.6흐림정읍11.3흐림남원12.5흐림장수9.7흐림고창군12.0흐림영광군10.3흐림김해시12.5흐림순창군11.7흐림북창원13.7흐림양산시14.7구름많음보성군12.6흐림강진군13.5흐림장흥13.8흐림해남13.9흐림고흥14.1흐림의령군11.2흐림함양군11.0흐림광양시13.1흐림진도군14.4흐림봉화12.3흐림영주10.2흐림문경11.5흐림청송군9.0흐림영덕13.1흐림의성10.2흐림구미10.0흐림영천7.9흐림경주시8.2흐림거창10.1흐림합천11.1흐림밀양11.3흐림산청11.8흐림거제13.1흐림남해11.9흐림북부산13.8
  • 2023.12.11(월)

CZ/SK 비즈니스/법률

지갑 여는 체코 소비자, 고급 소비재 및 IT 제품 소비 증가(2월)

지갑 여는 체코 소비자, 고급 소비재 및 IT 제품 소비 증가
2019-02-20 정지연 체코 프라하무역관

- 경기호황으로 2018년에 전년대비 가처분소득 6.0%, 가계최종소비지출 6.2% 증가 -
- 고급 소비재 및 혁신기술 결합된 IT 제품 소비 증가 –
- 만족과 가치추구 경향으로 여가·취미 및 편의서비스 분야 시장 확대 -
 

□ 긍정적인 경제상황으로 소득, 지출, 구매력 모두 증가

  ㅇ 유럽 경기 회복 및 고용시장 활기로 소득증가

    - 2013년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하면서 월 평균임금이 매년 증가해 2013년 2만 5035코루나에서 2017년 2만 9496코루나로 약 18% 증가함. 또한 2018년 3분기에는 3만 1516코루나를 기록했으며 2018년 월 평균임금은 3만 1900코루나로 추정됨.
    - 실제로 자유롭게 소비 가능한 가처분소득(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공제하고 연금 등 이전소득을 더한 소득)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7년 증가율은 4.1%를 기록하고 2018년은 6.0%로 추정됨.

ㅇ 긍정적인 소비심리로 소비 증가

    - 경제활성화로 긍정적인 소비심리가 이어져 가계최종소비지출 금액은 2014년 2조440억 코루나에서 2018년에는 20%이상 증가한 2조5090억 코루나에 이를 것으로 보임. 특히 2017년에는 가계최종소비지출 증가율이 6.7%를 기록하며 가처분소득 증가율(4.1%)을 넘어섰으며 2018년에도 6.2%의 증가율로 소비증가가 지속
    - 최근 5년간 총 저축률(Gross Saving rate)은 9~12%로 최근 3년간은 소비증가로 감소추세임. 또한 경제지 Ekonom에 따르면 체코인의 44%가 한달 소득 미만의 재정을 보유해 저축률이 높은 편은 아님.
    - 체코인의 33%가 올해에 작년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할 것이라고 응답해 올해도 소득증가가 소비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가계소득 및 지출 변화
01.png
자료원: 체코재무부

  ㅇ 2018년 유럽 국가 중 체코 구매력 지수 가장 빠르게 증가

    - 리서치기관 GfK의 2018년 유럽 구매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체코의 1인당 구매력지수는 전체 42개국 유럽 중 전년대비 3계단 상승한 23위로 유럽 국가 중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임. GfK의 컨설턴트에 따르면 체코의 경제성장 및 2017년 외환시장 개입 중단 이후 유로화 대비 체코 코루나의 강세로 구매력지수가 빠르게 상승한 것이라고 밝힘.
    - 상위를 차지하는 서유럽 국가에 비해서는 아직 구매력이 낮은 수준이나 동유럽 국가 중에는 슬로베니아와 에스토니아 다음으로 세 번째임.

2018 유럽 구매력지수 순위
02-1.png

  ㅇ 중산층 확대로 재량적 소비 및 서비스 수요 증가

    - Euromonitor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체코의 중산층(소득이 전체 평균임금의 50% 이상 150% 미만인 소득계층 C와 D)은 전체의 72%를 차지하는 가장 큰 계층임.
    - 중산층은 긍정적인 경제전망과 고용호황의 영향으로 2030년까지 계속 우위를 차지할 것이며 현재의 낮은 소득불균형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 공공부문 임금인상 추진이 이뤄져 중산층 확대를 뒷받침 할 것으로 보임. 중산층 소비자의 증가로 재량적 소비재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02.png
 자료원: Euromonitor, Income and Expenditure Czech Republic 2018


□ 고급 소비재, IT 제품, 여가 및 편의서비스 시장 확대

  ㅇ 리서치기관 Kantar에서 2018년 체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년 전과 비교해서 모든 항목에서 소비를 자제하는 행동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 4년 전과 비교해 외식, 쇼핑, 여가생활, 여행비용 항목에서 소비를 자제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크게 감소해 소득증가로 필수 소비보다 만족과 가치추구의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 여행 및 여가·취미생활이 체코 소비자가 가장 가치를 두고 있는 항목으로 응답자의 절반이 소득증가 시 지출을 늘릴 항목으로 꼽았음. 또한 응답자의 3분의1은 주택과 주거용품에 투자하고자 하며 쇼핑을 더 많이 하거나 자녀에 대한 소비를 늘린다는 응답도 각각 27%, 23%로 나타남.

체코 소비자 행동 변화
03.png
자료원: Ekonom, Kantar CZ

항목별 소비증가현황
04.png
자료원: Ekonom, Kantar CZ

  ㅇ 고급 소비재 구매 증가

    - 체코 최대 온라인 쇼핑몰 Alza.cz에 따르면 3년 전 체코 소비자들이 40인치 TV를 주로 구매한 반면 최근에는 55인치 이상의 QLED 또는 OLED TV 구매가 증가함.
    - 모바일폰의 경우도 기존의 가격대비 괜찮은 성능을 갖춘 제품 구매에서 아이폰과 삼성 등의 프리미엄 브랜드의 플래그쉽 모델(주력상품) 구매가 증가함.
    - 식료품도 가격보다는 품질에 비중을 두는 경향이 뚜렷해짐. 체코상공연합회 회장에 따르면 소비자신뢰지수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유기농, 현지 생산 식료품 등 고품질의 식료품 수요가 증가했고 유통체인도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고품질 식료품 공급을 확대했다고 밝힘.

  ㅇ 신기술 결합된 제품 구매가 온라인 시장과 함께 성장

    - Alza.cz의 비즈니스 매니저에 따르면 2018년에는 전자기기, ICT 제품, 가전제품 시장이 구매력 증가를 결정했다고 밝힘. 특히 소비자들은 혁신기술 및 신기술이 결합된 제품에 관심을 보여 스마트워치, 스마트홈 기기(스마트 전등, 스마트 도어락, 스마트 난방조절기 등), 하이엔드 게임용 노트북, 전자 및 로봇 장난감 등이 인기를 얻음.
    - GfK TEMAX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3분기 체코 전자제품 시장이 전년대비 6% 성장함. 가장 큰 성장을 보인 분야는 ICT와 가전시장으로 9%가 넘는 증가율을 기록함. 특히, 블루투스 헤드폰·이어폰 및 스피커는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ICT 분야의 경우 소비자의 관심이 프리미엄 제품으로 이동하고 있음.
    - 체코의 온라인 시장 성장은 유럽에서도 가장 빠른 편이며 특히 전자 및 ICT 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함. 최근에는 패션, 화장품, 장난감 등 모든 상품의 온라인 구매가 증가하고 젊은층을 중심으로 모바일 구매도 성장하고 있음.

  ㅇ 자녀 없는 가구 확대로 여가분야 및 편의서비스 성장 예상

    - Euromonitor에 따르면 2017년에는 자녀가 있는 가구의 지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장기적으로 점차 지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임. 2030년까지 자녀가 없는 가구의 지출이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자녀가 없는 가구의 증가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여행, 여가·취미, 외식, 편의서비스 분야의 성장이 예상됨. 일례로 최근에는 Wolt, Uber eats, Ordr 등 외식배달 서비스업체가 체코 시장에 속속 등장하고 있음.


□ 시사점

  ㅇ 체코는 전례 없는 고용호황과 경제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구매심리로 기존의 절약하고 자제하는 소비성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향후에도 긍정적인 소비지출이 예상됨.

  ㅇ ICT 제품과 고급 소비재 시장이 확대되고 삶의 만족을 중시하는 여가서비스 및 편의서비스 시장 활성화는 한국 기업의 소비재 및 서비스 시장 진출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ㅇ 최근 부동산 시장 과열로 주택가격 및 임대료가 상승하고 금리인상으로 주택대출 이자의 부담이 커져 이는 소비자 지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자료원: 경제지 Ekonom, Euromonitor, GfK, 체코 재무부, 체코 통계청 및 KOTRA 프라하 무역관 자료 종합
http://news.kotra.or.kr(KOTRA 해외시장뉴스) ]
검색결과는 총 103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03 체코, 긴축패키지 법안 2024년 시행 예정(2023-11-06) 운영진 11.10 0 204
102 [전문가오피니언] 체코의 경제 상황과 코로나19에 따른 피해 완화를 위한 정부조치 운영진 07.09 0 3,126
101 [이슈트렌드] 슬로바키아, 코로나19로 인해 고용시장 전망 최악... 경제 구조 개혁 시급 운영진 07.03 0 2,479
100 [이슈트렌드] 중동부유럽,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우려(2020.03.19) 운영진 03.23 0 2,531
99 [전문가오피니언] 스코다자동차와 철도전력공사의 사례 경제 동향(2019.07.21) 운영진 10.14 0 2,528
98 체코, 무인항공기(드론) 활용 확대(2018.06) 운영진 03.29 0 2,965
97 지갑 여는 체코 소비자, 고급 소비재 및 IT 제품 소비 증가(2월) 운영진 03.01 0 2,704
96 2019 체코 진출전략 (2019.01.15) 운영진 02.18 0 2,730
95 체코, EU GDPR에 따른 자국법 하원 통과(12/2018) 운영진 02.06 0 2,473
94 [전문가오피니언] 체코 경제호황과 향후 전망(2018.12) 운영진 12.03 0 3,131
93 [산업] 로봇 도입이 가속화되는 체코 시장 (2018.08.10) 운영진 08.21 0 2,818
92 슬로바키아 진출 시 알아야 할 온라인 마케팅 전략(6월) 운영진 08.07 0 3,032
91 체코 게임, 독창성으로 세계 게임시장 공략(2018.04) 운영진 07.30 0 2,038
90 2018년 슬로바키아 노동법 개정과 그 영향(2018.05) 운영진 07.27 0 2,917
89 체코, 재활용 및 폐기물 에너지 활용 확대(2018.04) 운영진 07.20 0 2,018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