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27.7박무북춘천24.4흐림철원25.1흐림동두천24.5흐림파주23.7구름많음대관령25.0흐림춘천24.2천둥번개백령도22.3구름많음북강릉27.6구름많음강릉29.6구름많음동해28.3흐림서울26.4흐림인천26.6흐림원주27.8맑음울릉도28.3구름많음수원28.1구름많음영월26.9구름많음충주28.1구름많음서산29.2구름조금울진27.0구름많음청주29.7구름많음대전29.5구름많음추풍령29.7구름많음안동30.1구름많음상주30.1구름조금포항31.6구름많음군산30.2구름조금대구30.5구름많음전주30.7구름많음울산32.1구름많음창원29.8구름조금광주30.3구름조금부산30.8구름조금통영29.6맑음목포29.9구름조금여수29.3구름조금흑산도30.6구름조금완도31.4구름많음고창30.9구름많음순천30.7구름많음홍성30.3구름많음서청주28.5구름조금제주32.7구름많음고산27.7맑음성산31.3맑음서귀포32.4구름조금진주29.8흐림강화25.0흐림양평25.6구름많음이천27.6흐림인제26.1구름많음홍천27.2흐림태백25.6흐림정선군28.9흐림제천25.6구름많음보은28.5구름많음천안29.0흐림보령29.3구름많음부여28.9구름많음금산30.1구름많음세종28.9구름많음부안30.5구름많음임실29.4구름많음정읍30.3구름많음남원29.9구름많음장수28.4구름많음고창군30.8구름조금영광군30.5구름많음김해시30.4구름많음순창군28.5구름많음북창원31.9구름조금양산시31.3구름조금보성군30.4구름조금강진군31.0구름조금장흥31.0구름많음해남30.0구름많음고흥30.2맑음의령군30.7구름조금함양군30.9구름많음광양시31.3구름조금진도군30.5구름많음봉화28.8흐림영주27.1구름많음문경28.2구름많음청송군30.5구름많음영덕30.5구름많음의성30.1맑음구미30.8맑음영천30.5구름조금경주시31.3구름많음거창30.5구름많음합천30.7맑음밀양32.1구름많음산청30.0구름많음거제28.7구름조금남해30.7구름많음북부산31.1
  • 2025.09.16(화)

문화 Inside

[한국문화100] 자신과 나라의 역경을 극복한 성웅, 이순신

C774C21CC2E0-C2A4CF00CE58.jpg


이순신의 일대기를 통해 그의 강인하고 자주적인 성품을 소개하고, 한산도 대첩에서 펼친 학익진의 전략을 분석함으로 그의 뛰어난 전략가로서의 면모를 살펴본다.

내레이션
세계전사에 유례없는 불패 신화를 이룩한 충무공 이순신은 정의, 창의, 책임완수, 희생정신의 표본이 되는 위인입니다. 어린시절의 이순신은 용감하고 통솔력이 뛰어나 마을 소년들에게 인기가 많은 대장이었고 강직한 성품의 그는 훗날 위기에서 나라를 구하는 성웅이 되었습니다.
28세에 처음 치룬 무예시험 중 말에서 떨어진 이순신은 왼쪽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게 되는데 이를 바라보던 모든 사람들은 그가 죽었다 생각했지만 이순신은 한발로 일어나 옆에 있는 나무껍질을 벗겨 다리에 대고 걸어 나와 주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습니다.
그만큼 자립정신이 강한 이순신은 32세라는 뒤늦은 나이에 북방의 말단 수비장교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지만 그의 관직생활은 그리 평탄하지 않았습니다.

강직한 성품의 이순신은 1591년 2월 유성룡의 추천으로 드디어 전라좌도 수군전도사로 임명되었고, 전라좌수사에 부임한 이순신은 왜군의  침략을 예견하고 군기 확립 ,군비 확충, 무기개발을 통해 수군의 전력 증강을 위하여 만반의 준비를 시작 하였습니다. 1592년 4월 13일 마침내 이순신이 우려했던 임진왜란이 발발했고 수십만 대군의 일본군은 전쟁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조선을 일시에 침략하게 됩니다. 

임진왜란의 전세를 바꾸게 한 1592년 7월 8일의 한산도 해전은 세계 4대 해전으로 꼽힐 정도로 유명한 해전이었습니다. 당시 73척의 왜선이 정박해 있던 견내량은 지형이 복잡하고 좁아서 아군에게 불리한 장소였는데 이순신 장군은 이 점을 간파하고 적선을 한산도의 넓은 바다로 유인하여 무방비상태의 적을 학익진법으로 집중 공격함으로 대승을 거두게 되었습니다. 

정의와 창의 책임완수, 희생정신을 몸소 실천하며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실천적인 나라사랑의 삶을 보여주었던 성웅 이순신 자신과 나라의 역경을 극복한 진정한 명장입니다. 

학이 양 날개를 펴듯 적을 포위하는 학익진법은 한 곳에 포위된 적의 함대에 화력을 집중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위력은 대단하였습니다. 동서양의 해전 연구가들은 시대를 초월하여 이순신 장군의 뛰어난 해전술을 칭찬하고 연구하고 있으며 현대 해군의 주요 전술로 계승하고 있습니다.

*100대민족문화상징 선정사유 : 세계 해전사에 빛날 위인

관련태그 문화재 인물 역사인물 위인 필사즉생
관련사이트 UTOUR 통영관광 http://www.utour.go.kr/

[출처 : 문화포털 - 저작권 조건 확인] (2015.11.16)
검색결과는 총 121건 입니다.    글쓰기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