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6.9맑음북춘천5.6맑음철원5.2맑음동두천6.8맑음파주4.1맑음대관령-1.0맑음춘천6.4맑음백령도7.8맑음북강릉7.2맑음강릉7.4맑음동해6.5연무서울9.8박무인천7.9맑음원주7.5박무울릉도8.7맑음수원6.2맑음영월4.6맑음충주5.9맑음서산4.4맑음울진5.4맑음청주9.7맑음대전7.5맑음추풍령8.4맑음안동7.8맑음상주9.2맑음포항9.5맑음군산5.4맑음대구8.5맑음전주7.6맑음울산8.7박무창원10.8맑음광주8.1맑음부산12.1맑음통영10.6박무목포7.4박무여수11.5박무흑산도7.2맑음완도7.9맑음고창3.5맑음순천5.0박무홍성5.1맑음서청주6.2맑음제주9.8맑음고산10.3맑음성산11.1맑음서귀포11.4맑음진주6.5맑음강화7.3맑음양평8.2맑음이천6.5맑음인제4.4맑음홍천5.8맑음태백1.0맑음정선군2.7맑음제천3.6맑음보은4.9맑음천안5.0맑음보령4.8맑음부여5.0맑음금산4.6맑음세종6.6맑음부안5.5맑음임실2.9맑음정읍4.4맑음남원4.8맑음장수2.6맑음고창군4.4맑음영광군4.5맑음김해시11.2맑음순창군3.9맑음북창원11.8맑음양산시9.7맑음보성군8.4맑음강진군5.8맑음장흥5.5맑음해남3.3맑음고흥5.3맑음의령군7.8맑음함양군5.1맑음광양시10.1맑음진도군3.1맑음봉화2.1맑음영주4.9맑음문경9.9맑음청송군3.2맑음영덕5.3맑음의성5.5맑음구미7.0맑음영천5.7맑음경주시5.8맑음거창맑음합천7.4맑음밀양9.0맑음산청6.9맑음거제9.8맑음남해10.9맑음북부산9.7
  • 2025.04.11(금)

CZ/SK 비즈니스/법률

[이슈분석] 슬로바키아 2018년 예산안의 주요 내용과 2017년 예산과의 차이점(2017.12.25)

슬로바키아 의회는 2018년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해당 예산안에는 정부 적자를 GDP의 1% 수준으로, 부채를 50%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목표치는 현재 성장 중인 슬로바키아의 자동차 산업으로 인한 호의적인 경제 상황에 기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와 관련하여 University of Economics in Bratislava의 Raneta Lenoid Professor와 슬로바키아 2018년 예산안의 주요 내용과 2017년 예산과의 차이점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Q. 먼저 슬로바키아 정부의 재정 상황에 대하여 말해 달라.

 

 2016년 슬로바키아 정부 부채는 GDP의 2.2%로, 예산에서 계획된 것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지만, 2008년 이래 최저 수준이다. 유로존 회원국 중에 슬로바키아 공화국은 마스트리히트(Maastricht) 예산 적자 하한선인  GDP의 3%보다 현격히 낮은 예산 적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6년 정부 부채는 GDP의 51.9% 수준이었는데, 2013년 54.7%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슬로바키아 정부 부채 역시 유로 지역의 평균보다 적으며, 정부 부채의 마스트리히트 하한선인 GDP 60% 수준보다도 낮다.

 

 현재 경상수지는 2016년 말 GDP 0.5% 수준의 적자를 기록하였다. 경상수지 적자의 주된 이유는 배당금을 통한 자본 유출 때문이다. 무역수지 흑자도 배당금 유출을 만회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자본수지에서도 적자가 나타났는데, 이는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자본수지 적자는 주로 예금과 해외 슬로바키아 통화기구 투자 유출로 인한 것이다.

Q. 2017년 예산 진행상황에 대해 알려 달라.

 

 현재까지 10월 말 국가 예산은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세수나 정부 지출은 전년 동기간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수는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반면 부가가치세, 내국소비세, 개인소득세, 제품 이용세는 긍정적인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법인 소득세는 감소하였다. 배당금에서 거두어들이는 국가 재정 세수는 급증하여 1억 7,100만 유로(약 2,230억 6,950만 원)를 기록하였다. 행정수수료는 증가하였다. 임대 세수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이자소득 및 자본소득 세수는 감소하였다.

 

 정부 채무 원리금 상환액은 전년 대비 6,200만 유로(약 808억 7,900만 원) 증가하였다. EU 관련 정부 예산지출은 약간 감소하였다. 한편 EU 예산을 위한 지출액은 증가하였다.

 2017년 정부 예산에서 세입은 전년보다 감소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부 예산 지출도 함께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정부 예산은 2017년 9월 말 1,080억 유로(약 140조 8,860억 원)에 달하였다. 정부 예산 지출과 세입은 단지 60% 수준에 그쳤다. 부가가치세, 소비세, 개인소득세는 긍정적인 성장을 기록하였다. 법인세와 원천세는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배당금에서 나오는 세입은 현재까지 8,320만 유로(약 1,085억 3,440만 원)였다. 유럽연합 기금과 관련된 정부 예산 지출은 전년보다 감소한 2,450만 유로(약 319억 6,025만 원)였다.

 

Q. 슬로바키아가 2018년 예산을 승인한 것으로 알고 있다. 2018년 예산의 주요 내용에 대해 알려 달라.

 

 2018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총 정부 적자는 2018년 처음으로 GDP의 1% 이하인 0.83%로 감소할 것이며, 향후 계속 이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해당 목표는 2020년까지 균형 잡힌 예산 운영을 통해 달성될 것이다.

 

 이번 예산안에는 공공 재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부채 수준을 50% 이하까지 낮추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2020년까지 부채는 약 GDP의 45%까지 지속해서 감소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가 예전에 우선적으로 합의한 과제들도 예산안에 들어있다. 이를테면, 최저 임금 인상, 통근 장려, 야근과 주말 근무 증가, 자발적 임금(13번째와 14번째 임금) 허용 등이 그것이다.

 

 예산안은 현재 거시 경제적 전망인 내년 GDP의 4.2% 성장에 기초하고 있다. 지난 수년간 자동차 공장 건설과 이와 관련된 수출의 증가로 슬로바키아의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었다.

 

 내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적자는 약 19억 유로(약 2조 4,785억 원) 수준으로 조정될 것이다. 총세입은 139억 유로(약 18조 1,325억 원)로 책정되었으며, 지출은 159억 유로(약 20조 7,415억 원)가 될 예정이다.

 

Q. 2017년 예산과 2018년 예산의 차이는 무엇인가?

 

 2017년 예산과 비교해보면, 2018년 정부 예산의 주요 특징은 정부 적자를 1% 이하 수준으로 조절한다는 것이다. 정부 예산 지출 분야에서 2억 1,200만 유로(약 2,765억 원)가 공무원이나 공공 부문에서 종사하는 직원들에게 제공되는 임금 인상을 위해 마련되었다. 교육 관련 공무원들의 임금을 높이기 위해 8,140만 유로(약 1,061억 8,630만 원)가 책정되었다.

 

 운송 인프라 건설 및 현대화, 운송 수단의 현대화 지원 및 효율화, 건물의 에너지 효율화 제고 등을 위하여, 슬로바키아 운송건설부의 예산도 9,280만 유로(약 1,210억 5,760만 원)로 높아졌다.

 

Q. 이번 예산안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가?

 

 정부가 균형적인 예산을 목표로 적자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내용의 예산안을 마련했다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이다.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공 재정을 이어가기 위한 선결 과제이다. 그러나, 가정 상으로 일단 그 목표가 이루어진다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공 재정의 달성을 위해서는 다른 추가적인 조치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예산 잉여액을 마련하고, 부채를 GDP의 43.5% 수준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중기적으로 호의적인 경제 상황이 지속되고, 현재 유지되고 있는 연금제도 등과 같은 조치들로부터 예금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Q. 정부가 예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채택된 예산안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노동 시장 상황을 해결하고 두 자리인 실업률을 줄이며, 장기 실업 및 청년 실업의 지표들을 크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제 활동을 권장하는 것도 정부 예산 세수를 확보하기 위해 중요하다. 정부 전망에 따르면, 슬로바키아 경제는 자동차 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증가와 향후 자동차 판매로 인하여 2018년 GDP가 4.2% 성장할 전망이다. 이미 발전한 자동차 부문을 더욱 성장시키기 위한 적절한 조건이 조성되어야 하며, 이는 곧 제3의 부문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정부 예산 세입을 늘리기 위해서는 공공 부동산을 투명한 방법으로 매각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슬로바키아 정부의 과제 중 하나는 공공 조달의 투명하고 효과적인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다.

 

Q. 재정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지속적으로 공공 재정을 더욱 굳건히 하고, 적자를 즐여, 공공 재정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 지출을 줄이기 위한 조치들은 두 가지 원칙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 첫 번째 원칙은 정부의 예산이 집중되는 활동(안보 및 국방 현안, 혹은 개인의 이익 추구 권리 보호 등)은 공적인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공공 지출이 투명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공 부문은 많은 부동산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재산은 매우 열악한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이러한 잉여 재산들은 투명한 전자 입찰을 통해 매각되어야 하고, 이를 매각하여 확보한 비용은 공공 기관 활동에 필요한 부동산을 재건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공공 기금을 효율적으로 지출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입찰자 평가에 효과적인 도구로 투명한 전자 공공 입찰과 공공 경매를 활용하는 것이다. 예산 세입에 관하여, 연말 성과급(13th and 14th month Salary)을 시행하는 것도 공공 재정을 향상시키고, 정부 예산에 추가 재정원을 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책이다.

※ 본 이슈분석의 전문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 EMERiCs - 운영기관(KIEP)/ 원문 포스팅]

[참조 : http://www.emerics.org/www/issue.do?systemcode=07&action=detail&brdctsno=236285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CzechInsight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 중동부 유럽 소비자 차별관련 체코 및 슬로바키아 장관들의 입장도 포함하고 있는 자료입니다. ,

#체코뉴스, #체코여행, #체코정보, #프라하정보, #프라하뉴스, #czechinsight, #czechnews, #프라하여행, #행사, #공연소식, #문화행사, #행사소식, #공연추천, #중동부유럽, #슬로바키아, #뉴스, #2018예산안, #예산안

첨부파일
  • 인터뷰_슬로바키아+2018년+예산안의+주요+내용과+2017년+예산과의+차이점.pdf(1.9M)
검색결과는 총 10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45 [이슈분석] 유럽의회 ‘로봇법’ 결의안 통과와 그 의미 (2017.02.05) 운영진 03.13 0 1,464
44 동유럽, 유럽의 공장에서 스타트업의 요람으로 변화 중 (2017.03.08) 운영진 03.10 0 1,701
43 체코 친환경 자동차로의 변화 움직임(2017.03.09) 운영진 03.09 0 1,949
42 체코 주택 거래 활성화 속 떠오르는 홈퍼니싱 시장 운영진 02.22 0 2,285
41 영국 정부, Post-브렉시트를 향한 산업 전략안 발표 운영진 02.03 0 1,534
40 영국 ‘하드 브렉시트’ 선택에 대한 EU 현지 반응 운영진 01.20 0 1,353
39 중동부 유럽 IT 강국 체코, 스타트업 활성화 운영진 01.19 0 2,172
38 다시 싹트는 체코 유기농 식품시장(2016.12.27) 운영진 01.04 0 2,405
37 슬로바키아, 경제 성장 힘입어 주류 판매 상승(2016.12.27) 운영진 01.04 0 1,782
36 [산업] 2016년 슬로바키아 무상 철도 수송의 역할과 현황 분석 (2016.12.29) 운영진 12.30 0 1,648
35 꾸준히 성장하는 슬로바키아 초콜릿시장(2016.12.10) 운영진 12.20 0 1,457
34 체코 시장진출을 위한 의료기기 인증절차 알아보기(2016.12.13) 운영진 12.15 0 2,023
33 2017 체코 진출전략 (2016.11.30) 운영진 12.12 0 1,472
32 꾸준히 성장하는 슬로바키아 유아용 식품시장 운영진 12.03 0 2,060
31 빠르게 성장하는 체코 온라인시장, 소비자 트렌드 짚어보기 운영진 12.01 0 1,822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