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26.9맑음북춘천26.0맑음철원25.0맑음동두천25.8맑음파주25.7맑음대관령20.7맑음춘천25.8맑음백령도24.3맑음북강릉28.6맑음강릉30.9맑음동해28.7맑음서울31.1맑음인천29.1맑음원주28.3맑음울릉도26.9맑음수원28.2맑음영월24.7맑음충주26.3맑음서산27.5맑음울진27.0맑음청주31.2맑음대전29.2맑음추풍령26.7맑음안동25.8맑음상주26.0맑음포항28.4맑음군산29.1맑음대구27.2맑음전주29.2맑음울산26.0맑음창원29.2맑음광주29.1맑음부산28.1맑음통영27.9맑음목포28.5맑음여수28.3박무흑산도26.0맑음완도26.9맑음고창27.6맑음순천24.8맑음홍성27.6맑음서청주26.5구름많음제주28.2구름조금고산27.1맑음성산28.0맑음서귀포29.3맑음진주25.2맑음강화25.4맑음양평26.6맑음이천26.6맑음인제24.2맑음홍천26.3맑음태백22.2맑음정선군23.7맑음제천24.4맑음보은24.7맑음천안25.6맑음보령28.6맑음부여26.7맑음금산25.2맑음세종28.0맑음부안28.8맑음임실28.4맑음정읍29.0맑음남원27.5맑음장수22.9맑음고창군28.9맑음영광군26.8맑음김해시28.2맑음순창군26.0맑음북창원30.6맑음양산시28.1맑음보성군27.0맑음강진군28.3맑음장흥27.6맑음해남28.3맑음고흥28.1맑음의령군24.0구름조금함양군26.1맑음광양시27.4맑음진도군25.9맑음봉화23.4맑음영주24.5맑음문경25.1맑음청송군23.8맑음영덕25.1맑음의성24.9맑음구미26.7구름조금영천24.6구름조금경주시24.7구름조금거창24.2구름조금합천25.3맑음밀양26.3구름조금산청25.4맑음거제27.7맑음남해27.6맑음북부산28.3
  • 2025.07.27(일)

문화 Inside

[한국문화100] 정겨운 우리의 집, 한옥

C2DCD000C2A4-01_2-(2).jpg
 


한옥에 묻어나는 소박한 인간다움과 한국의 감성적 멋을 느껴보세요.
 
*소재선정이유 : 우리 민족의 전통적 주거 양식
 
 
내래이션

한국의 가옥 한옥, 미국의 집을 아메리칸 하우스, 프랑스의 집을 프렌치 하우스라고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집만은 한옥이라 부른다.
한걸음 뒤로 물러서 천천히 전체의 모습을 바라보면 한옥의 짙게 베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땅위에 자리 잡고 지긋이 앉은 품새는 집주인의 인격을 고스란히 드러내며 하나의 인상을 이루고 있다.
 
아무리 부잣집이라도 기와로 전체를 채우지 않았다. 
남겨두고 비워내어 그 텅 빈 공백으로 모자람을 채웠다.
한옥과 마주하는 것은 사람과 마주하는 것, 한옥을 바라본다는 것은 처음만난 그 집의 인상과 인사하며 그 집에 깊게 서린 고즈넉한 기운을 읽어내는 것이다.
 
소담한 만물이 서로 어울리며 보듬고 있는 곳, 산에 기운을 담고 물을 얹는 자리, 자연 속에서 한옥은 한그루의 나무로 서있다. 
흘러가는 계절 따라 물소리, 새소리, 나뭇잎소리가 잔잔히 숨 쉬며 노래한다.
 
자연친화적이요, 건강 지향적이다.
한옥은 햇빛과 바람이 드나드는 구조.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는 독특한 구조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온돌, 즉 구운 돌에 의해 바닥에서 데워진 따뜻한 공기는 자연히 대류현상을 일으키고 끊임없이 순환하는 쾌적한 공기는 혈액순환을 도우며 인체의 면역력을 높인다.
또한 황토벽과 창호지는 스스로 숨을 쉬며 습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반투명한 햇빛을 오묘하게 살려내 은근하고도 포근한 한국의 감성적 문명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자연의 품속에서 자연을 닮아 있는 집, 한옥.
곳곳에 숨어있는 선들의 모양새는 넘실대는 산등성이를 타고 하늘과 땅을 자유롭게 넘나든다.
손을 맞잡으면 자연히 친해지듯 한옥과 자연은 아주 오래된 지기처럼 서로 닮은 모양으로 나란히 어깨동무하고서 옹기종기 모여 있다. 
웅장하고도 부드럽게 그리고 분별없이 둥글게 어울린 집, 한옥은 나뿐인 나쁜 집이 아니라, 조화로운 좋은 집이다.
 
마음 속 깊은 곳에 숨어있는 평화로운 고향.
아른아른 퍼져나가는 그리움처럼 한 해를 기다려온 가을의 기운이 드디어 온 세상에 황금색 물감을 터뜨렸다.
마을을 감싸 안은 원 안에서 큰 것은 큰 대로 작은 것은 작은 대로 자신의 터를 지키고 있다.
 
한옥에 산다는 것은 먼 자연조차 내 정원으로 삼는 것.
문과 창은 하나의 액자가 되고, 액자 속에는 자연이 살아 있다. 
여닫이문과 미닫이문의 한지가 포근히 햇빛을 끌어오면 움직일 때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풍경이 마음속에 잦아든다. 
한옥에 산다는 것은 크고 작은 그림을 삶 속에 이고 사는 것.
창문 하나하나에는 보기 좋은 풍경을 담기 위해 고민한 정성스러운 흔적이 묻어난다.
물 흐르듯 막힘없는 한옥, 시작도 없고 끝도 없지만 모든 것은 하나로 통한다.
언제나 바깥과 함께하는 기분으로 이쪽과 저쪽을 구별하지 않고, 너와 나를 편 가르지 않는다.
‘골목 참 정겹다’
수많은 사람들의 방향모를 발걸음 그 속에서 우리는 한옥을 그리워합니다.
넓은 길에서 치이고, 걸리고, 피하는 것이 아니라 좁은 길에서 마주하고, 풀고, 신세지며 살아갑니다.
반듯하고 네모진 길이 아니라 엉성하고 둥그런 골목 안에서 사람도 집도 자연도 한데 어울려 살아갑니다.
오순도순 닮아가는 정겨운 집, 한옥은 우리의 좋은 집입니다.

관련태그 한옥 건축
[출처 : 문화포털 - 저작권 조건 확인] (2015.11.16)
검색결과는 총 121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