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7.4맑음북춘천-4.7흐림철원-3.2흐림동두천-1.2흐림파주-1.5맑음대관령-3.9맑음춘천-3.9맑음백령도9.5맑음북강릉3.5맑음강릉6.8맑음동해4.7흐림서울2.6흐림인천4.5맑음원주-2.8맑음울릉도9.1흐림수원0.9맑음영월-4.5맑음충주-3.6흐림서산3.7맑음울진4.4흐림청주2.2흐림대전2.4맑음추풍령3.2맑음안동-2.2맑음상주3.6맑음포항4.5흐림군산4.3맑음대구1.8구름많음전주3.6맑음울산1.9맑음창원5.2구름많음광주4.7맑음부산4.6맑음통영3.7맑음목포5.6맑음여수5.8흐림흑산도9.4맑음완도6.9흐림고창2.0맑음순천0.5흐림홍성4.0흐림서청주-0.6구름조금제주11.2흐림고산11.7구름조금성산7.3구름많음서귀포10.8맑음진주-1.5맑음강화1.4맑음양평-2.1흐림이천-2.6맑음인제-3.4맑음홍천-3.6맑음태백-0.3맑음정선군-5.4맑음제천-5.5흐림보은-2.5흐림천안-0.7흐림보령5.2흐림부여2.7흐림금산0.1흐림세종1.4흐림부안4.9흐림임실0.1흐림정읍3.4흐림남원-0.3흐림장수-2.0흐림고창군3.2구름많음영광군2.2맑음김해시2.4흐림순창군0.9맑음북창원3.8맑음양산시2.5맑음보성군4.2맑음강진군2.1맑음장흥0.5맑음해남0.3맑음고흥2.8맑음의령군-2.7맑음함양군-0.7맑음광양시3.6구름조금진도군3.1맑음봉화-5.0맑음영주-1.6맑음문경1.8맑음청송군-5.2맑음영덕3.7맑음의성-4.0맑음구미맑음영천1.3맑음경주시-1.7맑음거창-3.4맑음합천-0.7맑음밀양-0.5맑음산청3.3맑음거제4.5맑음남해3.2맑음북부산-0.5
  • 2025.11.20(목)

문화 Inside

도산, 이국땅에 한국의 뿌리를 내리다(2016.08.21)

C548CC3DD638160821135938648.jpg
 


캘리포니아 LA 곳곳에서는 도산 안창호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표시를 찾아볼 수 있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한인사회가 미주 지역에 뿌리 내릴 수 있게 하고
독립 운동에 큰 역할을 할 수 있게 도운 안창호의 흔적을 찾아본다.
 
---------------------------------------------------------------------------------
자막) 
리버사이드 시청 앞에는 ( 안창호 기념 동상 ) 이 있다.
LA 고속도로에는 ( 안창호 메모리얼 인터체인지 ) 가 있다.
LA 공공건물 중에는 ( 안창호 우체국 ) 이 있다.
 
 
타이틀) 
도산, 이국땅에 한국의 뿌리를 내리다
 
인터뷰)
 
- 필립 안 커디 / 도산의 외손자
도산 안창호는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을 위해 일했을 뿐만 아니라
이 곳 미국으로 이민 온 한인들을 위해서도 많은 일을 했습니다.
 
 
자막) 
1902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안창호, 그가 그 곳에서 본 것은 어려운 처지의 동포들
그는 교민들을 위한 활동을 시작한다.
 
 
- 필립 안 커디 / 도산의 외손자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은 한국을 강압적으로 통치했기 때문에, 도산은 이곳에 있는 한인들이
 
안전하게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미주지역의 한인들이 공동체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자막)  LA시에서 한시간 거리에 있는 리버사이드 시, 안창호는 이곳에 한국의 뿌리를 내렸다.
 

- 필립 안 커디 / 도산의 외손자
리버사이드에서 찍힌 사진에는 도산과 오렌지 농장의 한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도산은 한인들이 오렌지를 수확하는 모든 방식을 새로 바꾸었고 그 결과 작업이 더 효율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자막) 
안창호의 가르침으로 한인들의 수익이 늘어났고, 이는 한인 공동체 형성의 밑바탕이 되었다.
 
 
자막)
Riverside 시청 앞 3400 Main St. CA
이 곳 시청 앞에는 마틴루터킹, 간디와 함께 안창호 기념 동상이 서있다.
민족의 지도자로서 한인 노동자들을 계몽한 안창호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2001년 8월 11일 건립되었다.
 
 
자막)
안창호는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하여 미주 곳곳에서 독립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기도 했다.
 
 
자막)
1913년 5월 1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흥사단’ 창립
LA에 위치한 흥사단 하우스
 

- 필립 안 커디 / 도산의 외손자
도산의 목적은 어린 한인들을 가르쳐 좋은 성품과 민주적 이상을 갖고 있는 좋은 리더로 키우는 것이었습니다.
언젠가 일본이 패망하여 대한민국이 자유로워졌을 때, 교육받은 리더들이 진실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조국의 정치와 경제를 이끌어 나갈 수 있길 바랐습니다.
 
 
자막)
머나먼 이국땅에서도 민족과 조국을 위해 헌신한 도산 안창호 
LA 곳곳에서는 안창호에 대한 감사와 존경을 담은 장소들을 만날 수 있다.
 
 
자막)
West 6th Street in LA
도산 안창호 우체국 
2004년 미 연방 정부가 소유한 건물에 최초로 한국계 이름이 붙게 된 장소이다.
 
 
자막)
도산 안창호 메모리얼 인터체인지
2002년 한인 이민 100주년을 맞아, 한인사회를 위해 힘쓴 도산을 기리기 위해 LA 10번 고속도로와
110번 고속도로가 만나는 곳에 세워졌다.
 
 
자막)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USC) 
 
도산 안창호 하우스는 도산의 가족들이 거주하던 집이자 미주 독립 운동가들의 사랑방 역할을 하기도 해
LA 사적지로 선정되었다.
USC 주변이 재개발되면서 사라질 뻔하였으나, USC와 한인커뮤니티의 도움으로 캠퍼스 안으로 이전되어
현재는 한국학 연구소로 사용되고 있다.
 
 
자막)
1926 미국을 떠나는 도산의 마지막 모습
관련태그 무한도전 안창호 독립운동 광복절 광복

[출처 : 문화포털 - 저작권 조건 확인] 
검색결과는 총 121건 입니다.    글쓰기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