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18.1안개북춘천7.9맑음철원7.0맑음동두천8.1맑음파주7.0맑음대관령7.0맑음춘천9.5박무백령도10.6맑음북강릉17.4구름조금강릉15.1맑음동해16.8박무서울9.9박무인천10.7맑음원주7.9구름조금울릉도14.2박무수원9.3맑음영월8.0맑음충주7.8맑음서산11.2맑음울진14.3박무청주10.6박무대전10.2맑음추풍령7.7박무안동7.4맑음상주11.5맑음포항14.4맑음군산9.7맑음대구9.6맑음전주10.4맑음울산12.3박무창원10.4박무광주10.3맑음부산13.6맑음통영11.0박무목포12.1맑음여수12.6박무흑산도11.4맑음완도12.2맑음고창6.6맑음순천5.0박무홍성9.0맑음서청주10.9맑음제주13.2맑음고산12.7맑음성산9.6박무서귀포13.0맑음진주8.1맑음강화8.2맑음양평7.7맑음이천8.4맑음인제9.8맑음홍천9.3맑음태백9.9맑음정선군7.8맑음제천6.5맑음보은6.4맑음천안6.5맑음보령9.7맑음부여11.2맑음금산6.3맑음세종9.6맑음부안10.6맑음임실5.4맑음정읍9.1맑음남원6.3맑음장수4.4맑음고창군8.1맑음영광군10.3맑음김해시9.9맑음순창군6.5맑음북창원10.4맑음양산시9.9맑음보성군8.5맑음강진군7.9맑음장흥5.9맑음해남9.4맑음고흥9.3맑음의령군8.0맑음함양군5.3맑음광양시11.0구름많음진도군9.7맑음봉화6.5맑음영주8.4맑음문경7.9맑음청송군5.5맑음영덕13.2맑음의성6.9맑음구미7.5맑음영천7.9맑음경주시8.8맑음거창4.5맑음합천8.1맑음밀양9.4맑음산청6.4맑음거제10.0맑음남해13.3박무북부산8.8
  • 2025.05.12(월)

CZ/SK 비즈니스/법률

슬로바키아의 와인 생산 현황(2016.10.25)[슬로바키아 정보/뉴스]


슬로바키아의 와인 생산 현황
2016-10-25 최규철슬로바키아브라티슬라바무역관

- Devin, Dunaj 등 토종품종 생산 -

레드보다는 화이트 와인 선호 -

 

□ 슬로바키아 포도 생산 및 품종

  ㅇ 슬로바키아 포도 생산지는 크게 6개 지역으로 구분됨.

   - 슬로바키아 포도 생산지는 서남부에 집중 분포돼 있으며남 슬로바키아 산지 및 카르파티아 산지가 슬로바키아 포도재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

 

슬로바키아 포도 생산지 분포

external_image

자료원: Wines of Slovakia

 

슬로바키아 포도 재배지 특징

카르파티아 산지(5539㏊)

Carpathian Region

(malokarpatska)

국토의 중서부에 자리잡고 있는 최대의 와인산지로,

수도 브라티슬라바가 있어 생산과 유통의 이점을 갖고 있음.

남 슬로바키아 산지(5345㏊)

Southern Slovakia Region

 (juznoslovenska)

풍부한 일조량과 배수가 좋은 사력층이 있어

품질 좋은 와인을 생산함.

니트라 산지(3903㏊)

Nitra Region

(nitrianska)

스파클링 와인의 주산지슬로바키아 토종품종을 주로 재배함.

중앙 슬로바키아 산지(1071㏊)

(stredoslovenska)

화이트 와인의 주산지.

Gruner VeltlinerGewurztraminer 등이 주종임.

동 슬로바키아 산지(1071㏊)

Eastern Slovakia Region

(vychodo)

가장 최근에 지정된 산지로,

Pinot Blanc, Chardonnay, Muller Thrugau 등을 재배함.

토카이 산지(908㏊)

Tokaj Region

동부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국경지대에 있는 와인 산지로,

토카이 와인의 양조가 이루어지며 Furmint, Lipovina, Muscat 등을 재배

  ㅇ 와인 생산량에 비해 다양한 40여 개의 포도 품종을 재배함.

    - 백포도 품종이 포도 재배의 75%를 차지하며적포도 품종이 25%를 차지

    - 토종품종인 Devin, Dunaj, Hron, Noria를 비롯해 Chardonnay, Sauvignon Blanc, Zweigeltrebe, Gruner Veltliner,Gewurztraminer 등 글로벌 품종까지 다양하게 재배

 

슬로바키아 토종품종 특징

사용자 지정 40.jpg

□ 소비량 대비 생산이 적어 수입에 의존

  ㅇ 소비량 대비 생산량이 저조한 슬로바키아는 와인 소비의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함.

    - EU국가가 와인 수입의 98%를 차지하며저가 와인은 주로 체코와 헝가리에서고가 와인은 주로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 수입함.

  ㅇ 전체 생산된 와인 중 약 1/3을 수출

    - 주로 체코로 수출하고 있으며 소량이지만 중국에 일부 수출 중

 
사용자 지정 1.jpg

□ 슬로바키아 와인 제조업체

 

  ㅇ 슬로바키아에는 400여 개의 업체가 와인을 생산함.

    - 와인을 5000hl 이상 생산할 수 있는 대형 제조업체는 14개이며이들이 슬로바키아 전체 와인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함.

    - 90여 개의 중형 제조업체가 나머지 15~19% 생산량을 차지하며, 300여 개의 소형 제조업체들이 생산량의 1%에 그침.

  ㅇ 슬로바키아 주요 와인 제조업체에는 Vinarske Zavody Topolcianky, Vino Matysak, Vino Nitra, Mrva& Stanko, Hubert J.E 등이 있음.

    - Hubert J.E는 2015년 슬로바키아 전체 와인 생산의 18%를 차지하며슬로바키아 와인 제조업체 중 생산량 1위를 기록함.

 
사용자 지정 2.jpg


□ 슬로바키아 와인 소비 동향

  ㅇ 슬로바키아 소비자들은 레드 와인보다 화이트 와인을 선호하며, 2015년 기준 화이트 와인은 스틸와인 판매량의 60%를 차지함.

    - 2015년 기준 슬로바키아 와인시장에서 인기 있는 화이트 와인은 muller Thurgau, Tramin Cerveny, Veltlinske zelene, Riesling 등이었음.

    - 2015년 기준 슬로바키아 와인시장에서 인기 있는 레드 와인은 Frankova modra, Cabernet Sauvignon 등이었음.

 
사용자 지정 3.jpg

ㅇ 2015년 기준, 전체 와인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1%를 기록했으며스파클링 와인시장이 연평균 성장률 5%를 기록하며 두드러진 성장을 보임.

 

□ 기타사항 

  ㅇ 슬로바키아 와인국제대회에서도 인정

    - 세계적인 와인 경연대회 비날리스 국제전(Vinalies Internationales Paris)에서 슬로바키아 와인이 다수의 메달 획득

    - 2016(2대회에는 전 세계 38개국 3441개 와인이 참여했으며, 슬로바키아는 총 51개 메달 획득(Gold 18, Silver 37)

 

 

자료원슬로바키아 와인협회각종 언론 및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자료 종합

http://news.kotra.or.kr(KOTRA 해외시장뉴스) ]


 

검색결과는 총 10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