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4.4맑음북춘천1.5맑음철원-0.7맑음동두천-1.3맑음파주-1.2맑음대관령-2.1맑음춘천1.5맑음백령도1.9맑음북강릉5.2맑음강릉5.7맑음동해5.9맑음서울-0.1맑음인천-0.2맑음원주2.7구름많음울릉도4.3맑음수원0.1맑음영월2.6맑음충주1.5맑음서산1.2구름조금울진3.8맑음청주1.2맑음대전1.2맑음추풍령2.2맑음안동3.2맑음상주3.0맑음포항7.0맑음군산1.3맑음대구5.5맑음전주2.0맑음울산6.0맑음창원6.7맑음광주3.5맑음부산8.0맑음통영6.6구름조금목포3.7맑음여수4.9구름조금흑산도4.5맑음완도4.7맑음고창1.8맑음순천2.5맑음홍성1.2맑음서청주1.6흐림제주7.2구름조금고산6.5맑음성산6.4맑음서귀포7.7맑음진주4.4맑음강화0.3맑음양평1.3맑음이천0.6맑음인제0.2맑음홍천2.1흐림태백0.0구름많음정선군2.2맑음제천1.7맑음보은0.8맑음천안0.9맑음보령0.8맑음부여0.7맑음금산2.1맑음세종0.6맑음부안2.4맑음임실2.1맑음정읍2.2맑음남원2.6맑음장수0.8맑음고창군2.5맑음영광군2.7맑음김해시6.7맑음순창군2.1맑음북창원6.8맑음양산시7.7맑음보성군4.2맑음강진군4.6맑음장흥4.3흐림해남4.5맑음고흥4.1맑음의령군4.6맑음함양군3.4맑음광양시3.8맑음진도군4.2맑음봉화2.7맑음영주2.8맑음문경2.4맑음청송군3.0맑음영덕5.5맑음의성4.6맑음구미4.4맑음영천4.9맑음경주시6.0맑음거창1.7맑음합천5.3맑음밀양6.2맑음산청3.6맑음거제5.8맑음남해5.1맑음북부산7.6
  • 2025.02.17(월)

CZ/SK 비즈니스/법률

슬로바키아에 부는 LED 바람

슬로바키아에 부는 LED 바람
2017-10-16 정봉원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무역관
- EU 기금 및 전력 소모 절감 트렌드로 인해 LED 교체 움직임 보여 -
- 한국으로부터 전기 램프 수입 최근 2년간 연평균 830% 증가 -
- 공공프로젝트 및 상업용 LED 설치는 현지 업체와의 협력 필수 -


□ 슬로바키아 LED 시장 현황
 
  ㅇ 유럽연합(EU)정책 및 소비전력 절감 트렌드에 따른 최근 급격한 성장
    - EU의 LED 전환 방침에 따라 슬로바키아에서도 2009년 기존 전구를 배제하는 데 동의함. 그 후 공공기관, 인프라 및 대기업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전기램프 수입 중 LED의 비중이 크게 증가
    · 이 정책 전환의 허점으로 중국산 기존 전구가 '발열체'로 한동안 판매되기도 했음)
    - 슬로바키아는 제조기반이 약해 LED 패널과 전구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 슬로바키아 정부는 '환경, 에너지, 기후 변화 및 저탄소 경제' 실현을 위해 배당된 EU 2020 기금과 Norwegian Grants 보조금의 도움으로, 슬로바키아 지자체의 '공공 거리 조명의 현대화'에 46회 자금을 지원했음.
    · Slovak Innovative and Energy Agency에 따르면 지원 자금은 총 300만 유로 이상으로 추정
    - EU 내에서 국민소득에 비해 비싼 전기료로 에너지 고효율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 가계에서의 LED 제품에 대한 구매 또한 증가하는 추세

  ㅇ 슬로바키아의 램프 및 조명 수입 현황(HS Code 940540)

                                                                                                                  (단위: 유로, %)
20171119_080013.png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통계에 따르면 2016년 대한 전기 램프 및 조명 수입액은 1198만5916유로로 총 수입액의 7.46%를 차지함(2014년 대비 830% 증가, 2015년 대비 171% 증가).
    - 이는 2015년 EU 2020(2014~2020) 기금의 본격적 투입 및 2016년 이후 한-EU FTA의 단계적 도입으로 대한 수입이 더 용이해졌기 때문
    - 총수입량은 소폭 감소한 반면, LED 수입 비중이 늘어 대한국 및 중국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함.
 
  ㅇ LED 시장 전환의 대표 사례

Senec시 공공 거리 조명 LED 교체 전후
20171013132524330_NDLFBI9X.png
자료원: www.ecologic.sk
 
    - 위 프로젝트는 슬로바키아 내 대규모 공공프로젝트를 주도해 온 Ecologic사가 설계 및 시공한 것으로, Senec시의 공공 거리 조명을 성공적으로 교체함. 2014년 '중동부 유럽 LED 도시상'을 수상했음.
    - PHILIPS사의 Luma and Stela Round LED 시스템을 사용해 도로는Neutral White 컬러(4000K), 보행자 도로는Warm White(3000K) 컬러로 설계됨(연색지수 CRI 70/80). 이 프로젝트로 Senec시의 연간 에너지 소비는(기존 70~150w고압 나트륨 램프 대비) 63% 감소했음. 이는 현재 전기요금으로 연간 9만9102유로를 절약하는 셈. 투자 대금은 8년 내 회수될 것으로 예상됨. 
    - 2017년 한국의 '국제 LED 및 OLED 박람회'를 방문한 KVANT사 또한 주요 업체 중 하나로, 대부분의 LED 관련 하위 부문을(공공 조명, LED 제조, 디지털 표지판 및 레이저 등) 다루고 있음.
 
Slovak National Football Stadium 조명 프로젝트 조감도
20171005170148469_FE23VV1Y.png
자료원: http://www.sleprojects.com/en/
      
    - SLE사는 브라티슬라바 공항, 여러 도시의 공공조명뿐 아니라 대형 쇼핑몰 BORY Mall, Shell 주유소, Skoda 쇼룸, 빌라 및 스타벅스 등 상업 매장에 스마트 조명 솔루션을 제공했음. 2017년 현재 Slovak National Football Stadium(축구 스타디움)에 조명 프로젝트를 진행 중
  
□ 슬로바키아 LED 시장의 최근 트렌드
 
  ㅇ 상업 및 가정용 스마트 조명
 
LEDCO사의 상업용 LED 스마트 조명 설치 사례 
20171005170150655_JC8KLS6O.png
 자료원: www.ledco.sk
  
    - 자동차 쇼룸뿐 아니라 일반 의류 및 식료품 상점들도 적절한 조명을 마케팅 요소로 활용하기 시작함. 조명 전문 업체로는 위 매장의 조명을 재설치한 LEDCO가 대표적임.
    · 위 매장의 경우 입력전력 30W, 연색지수 CRI Ra 90의 LED 다운 라이트를 설치했으며 이에 따라 SDK 천장의 색상도 조정했음. 
    - 최근 두 대기업 Slovensky Plynarensky Priemysel(가스 및 전기 공기업)과 Telekom(이동 통신사)이 가정용 '스마트' 서비스를 시작했음. 각각 SPP Smart Lighting과 Telekom 'Smart Home' 서비스로, 에너지 요금을 최대 15 % 절약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 
    - 이러한 캠페인을 통해 자사 제품을 홍보할 뿐 아니라 '스마트 조명' 및 ‚ '스마트 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음. 시장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관련 중소 업체들의 제품 수입 또한 증가할 전망
  
  ㅇ 디지털 표지판: 실내(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매장 입구에 설치된 터치 패널 예시
20171005170151928_U1AU8UQ3.png
 자료원: www.centronitra.sk
   
    - 기존의 LED 디스플레이가 가격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 최근에는 터치 패널을 통해 소비자와 양방향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디스플레이가 이동통신사 및 우체국 매장을 필두로 최근 1~2년간 확산됨.
    - 위 사진은 슬로바키아 주요 이동 통신사 매장 입구에 설치된 발권기를 보여줌. 입구의 터치 패널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 대기인원과 대기시간을 알 수 있음.
 
  ㅇ 디지털 표지판: 옥외(광고판)
 
Laser Media사가 설치한 옥외 대형 LED 디스플레이 
20171005170150633_E282B0D9.png
 
  
    - 옥외 LED 디스플레이의 설치 또한 증가하는 추세임. 주요 업체인 Laser Media는 이미 25개 도시에 40개 이상의 대형 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원격 관리 중. 위 사진은 Vranov nad Toplou시에 설치된 4mx3m 크기의 디스플레이
 
Laser Media사가 서비스 중인 슬로바키아의 지역들 
20171005170150628_9YMSFAN6.png
 자료원: http://www.ledstreetlights.sk/en/
 
    - 특히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갖춰 날씨와 기온에 영향을 받지 않는 40~50인치 대형 디스플레이 수요가 두드러짐. 빌딩 디자인에 맞게 원하는 외관으로 제작하는 맞춤 프레임을 선호함.
 
□ 시사점
 
  ㅇ 조명 및 디스플레이 박람회를 통해 현지 수요 및 바이어 발굴 기회 포착 필요
    - 한국에서 열린 2017 International LED & OLED Fair에 슬로바키아 업체 2개사가 참여해 15개의 한국 제조업체와 B2B미팅을 가졌으며 현재 샘플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임.
  
  ㅇ 상업 및 공공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현지 업체와의 협력이 필수적임. 현지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조달, 설치, 보증, 청구의 각 역할을 맡고 있음.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을 통해 컨소시엄 내의 제품 소싱을 맡은 업체를 발굴할 수 있음.
 

자료원: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자료 종합
http://news.kotra.or.kr(KOTRA 해외시장뉴스) ]
[ 저작권 조건 확인]
검색결과는 총 10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90 2018년 슬로바키아 노동법 개정과 그 영향(2018.05) 운영진 07.27 0 3,508
89 체코, 재활용 및 폐기물 에너지 활용 확대(2018.04) 운영진 07.20 0 2,979
88 2018년 슬로바키아의 투자 인센티브 방향(2018.05) 운영진 07.12 0 2,308
87 [동향세미나] 최근 중국-중·동부 유럽국의 주요 협력 내용과 평가(2018.07.10) 운영진 07.12 0 1,481
86 [동향세미나] EU의 플라스틱 사용 제한입법: 주요 내용과 평가(2018.06.08) 운영진 07.12 0 1,665
85 슬로바키아 자동차 시장동향(2018.06.08) 운영진 06.13 0 1,730
84 슬로바키아의 개인 파산과 관련 법 개정(2018.05) 운영진 05.21 0 1,585
83 체코 주방 소형가전 키워드 '슬로우, 프로패셔널'(2018.02.26) 운영진 04.23 0 2,102
82 급성장중인 슬로바키아 영화시장, 한국영화의 자리는? 운영진 03.29 0 1,488
81 유럽 관광의 숨은 진주, 슬로바키아의 자연 여행(2018.01.02) 운영진 03.01 0 2,067
80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 공항 현대화 프로젝트(2017.12.05) 운영진 02.28 0 1,474
79 [이슈분석] 밀로쉬 제만 대통령 재선 성공 (2018.02.12) 운영진 02.15 0 1,552
78 체코, 2018년 비즈니스 관련 7가지 주요 변화(2018.01.31) 운영진 02.13 0 1,979
77 [전문가 기고] 체코 취업, 마음가짐에서 비자신청까지(2018.01.05) 운영진 02.07 0 1,503
76 [이슈분석] 체코 총선 결과와 EU와의 대립 전망 (2017.12.27) 운영진 01.26 0 1,257
1 2 3 4 5 6 7